오늘은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듣는
‘휴리스틱 알고리즘’이
실제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다양한 사례를 통해
쉽고 재미있게 알아보려고 해요.
# 휴리스틱 알고리즘이란? #
먼저,
휴리스틱 알고리즘이 뭔지
간단히 짚고 넘어갈게요.
쉽게 말해,
' 빠르고 간편하게 쓸 수 있는 문제 해결법 '
모든 걸 완벽하게 따져보는 대신,
경험이나 직관을 바탕으로
현실적으로 쓸 만한 해답을
빠르게 찾아내는 방법이죠.
좀 더 쉽게 알아볼까요?
1. 게임 AI와 보드게임
혹시 체스나 바둑 좋아하시나요?
이런 보드게임에서
인공지능(AI)이 사람과 대국할 때,
바로 휴리스틱 알고리즘이
큰 역할을 해요.
AI는 모든 경우의 수를 다 계산하기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이런 수가 유리해 보인다’는 식의
평가 기준(휴리스틱 함수)을 이용해
유망한 수만 뽑아
빠르게 다음 수를 결정하죠.
2. 내비게이션과 경로 찾기
길 찾기 앱에서 목적지까지
최적의 경로를 안내해주는 것도
휴리스틱 알고리즘 덕분이에요.
대표적으로
‘A* 알고리즘’이 있는데,
이 알고리즘은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거리를
대략적으로 계산해서
‘여기로 가면 더 빠를 것 같다’는 식으로
경로를 빠르게 탐색합니다.
3. 물류, 창고 배치, 스케줄링
복잡한 창고에서
물건을 어떻게 배치하면 좋을지,
또는
여러 작업을
어떤 순서로 배치해야
효율적인지 고민할 때도,
휴리스틱 알고리즘이 빛을 발합니다.
모든 경우의 수를 다 따지기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니,
경험적 규칙이나 적합성 함수를 이용해
현실적인 최적 해답을 찾아내죠.
4. 바이러스 탐지
백신 프로그램이
새로운 바이러스를 잡아낼 때도
휴리스틱 알고리즘이 쓰입니다.
아직 알려지지 않은 바이러스라도,
‘이 파일은 뭔가 수상하다’는
패턴을 빠르게 찾아내
의심 파일을 걸러내는 데 도움을 줍니다.
5. 데이터 분석과 예측
날씨 예보나 주식 시세 예측처럼
미래를 예측하는 모델에도
휴리스틱 알고리즘이 자주 활용돼요.
복잡한 데이터 속에서
경험적으로 의미 있는 패턴을 찾아
실용적인 예측 결과를 만들어냅니다.
6. 유전자 알고리즘
자연의 진화 과정을 흉내 낸
‘유전자 알고리즘’도
대표적인 휴리스틱 기법이에요.
여러 가지 해답을 조금씩 바꿔가며
점점 더 좋은 해답을 찾아가는 방식이죠.
이 역시 경로 최적화, 배치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고 있습니다.
이처럼 휴리스틱 알고리즘은
게임, 내비게이션, 물류, 보안, 데이터 분석 등
우리 생활 곳곳에서
똑똑한 문제 해결사로 활약하고 있어요.
완벽하지는 않지만,
현실적으로 충분히 쓸 만한 해답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찾아내는 게 바로
휴리스틱의 매력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 휴리스틱을 조심해야 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위와 같은
휴리스틱의 예측이,
우리 뇌에도 적용되어
우리는 섣부른 판단으로
작용할 때가 있기 때문이죠.
속된 말로
"내가 뭐에 홀렸었나, 왜 이걸 이렇게 했지...?"
이처럼,
우리는 많은 판단을
휴리스틱에 의존해
무의식적으로 결정하고 있습니다.
물론 위와 같은 예시로
좋은 면도 무수히 많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행하는
습관적 소비나, 충동적 구매 또한,
휴리스틱 판단에 의해서
이루어 지는것도
현실입니다.
여러분은 오늘
휴리스틱에 양면을
모두 확인하셨으니,
좋은 방향으로
사용하시길 바라며
오늘 내용 마칩니다.
이 글이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래요.
궁금한 점이나
더 알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앞으로도 찬란한 당신의 시간을 응원합니다.
행동하라, Act입니다.